본문 바로가기

문학 시

나의 무비즘 (3), 실존주의 앙가주망 (2)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 박석준

나의 3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나의 무비즘 (3), 실존주의 앙가주망 (2)

1970

박석준 /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통증이 와도 안대로 가릴 수도 결근을 할 수도 없다.

  교육관이 뭐냐고? 글쎄요. ‘어떻게 살 것인가?’를 생각했을 뿐.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조퇴하고 가게에 들른 중1 나는 서성거리다 집으로 갔다.

  어디 가서 얻어 온 거냐?

  집에 가서, 가지고, 왔어요.

  그럴 줄 알았다. 사람은 정직해야 하지. 그런데,

  말이 더 이어지지 않아서, 나는 심장이 뛰고 초조했다.

  허약한 애한테 너무 뭐라 하지 마시오.

  엄마가, 엄마의 목소리가 스며들자

   아버지가 밥 한 숟가락에서 몇 알 떼어 큰형 이름 적힌 편지봉투에 바른다.

  그러곤 갑자기 손을 잡아채어 불안하게 하면서 밖으로 걸음을 뗐다.

  우리 식료품 가게 앞 큰길을 건너 의원으로 들어갔다.

  의원에서 나오는 길로 아버지가 택시를 잡았다.

  나를 업고 올라가, 70년 봄 동산 위 정자에 앉혀놓았다.

  광주천과 무등산이 보이는 정자에 아버지가 서 있어서, 나는 불안한데

  어떻게 살아야 하지?

  아버지의 소리가 해 질 무렵에 귀를 타고 머리에 박힌다.

  1년 후에 파산하여 아버지가 1974년에 서울로 갔다.

  큰형이 민청학련 사건으로 수감되었다.

 

  열아홉 살 다 지나가는 1976년 겨울, 걸음 걷다가

  쓰러지는 나를 큰형이 업어 서울 병원으로 데려갔다.

  팔로4징후*였다. 형이 각서를 썼다. 무슨 소리가 들리고

  엄마가 보인다. 기자라 한 사람이 물었고 오후에

  큰형이 가져온 신문에 해가 바뀌고 며칠이 지난 시간과

  국내 최초 성공, 내 이름이 실려 있다.

 

  스물두 살 내가 느리게라도 걸을 수 있어 돈을 구하려고

  이곳저곳 찾아다니다 11월에 본 가판대 신문, 적힌 사건,

  큰형 이름. 눈물이 나고 내가 초라하게 여겨졌다.

  남민전* 사건으로 큰형이 투옥되었다!

  나는 부실하여 감당할 만한 일터를 먼 곳에서 구했다,

  스물여섯에. 교사가 되었으나 큰형의 일로 안기부에게

  각서를 써야만 했다. 13개월 후에 아버지가 떠났다.

 

  여인숙 일을 접은 어머니는 단칸방에서 일터로 갈

  사람을 깨운다. 그 후엔 나팔꽃 화분을 가꾸거나

  오후엔 절룩이며 팥죽을 팔러 나가실 텐데.

  새벽길에서 나는 7년 넘게 갇혀 있는

  큰형 얼굴을 떠올린다, ‘어두운 곳에서 벗어나 지향하는

  색깔로 시간을 만들어가는 것으로 생각을 이어간다.

 

 

  * TOF(Tetralogy Of Fallot, 팔로4징후): 선천성희귀 심장병.

  * 남조선민족해방전선: 19762월에 반유신 민주화와 민족해방을 목표로 결성된 비합법 지하조직. 197911월에 종결. 박석률의 권유로 박석삼, 김남주 등이 가입. 이재문은 옥사하고, 신향식은 사형이 집행됨. 안재구, 임동규, 이해경, 박석률, 최석진 등은 무기징역을, 박석삼, 김남주 등은 징역 15년 형을 선고받음.

.

2019-06-03 ()

2019-07-28(문학들 57)

2020.04.13. 11:58 (1/ 걸음/어떻게 살 것인가?) <개작 원본>

(어떻게 살 것인가?2020.04.30.)

= 시집본_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2020.05.25.)

.

실제상황:

    1986.11. (출근길에서의 상념, 현재 시점) : 1

    1970., 1971, 1974.4.(민청학련) : 2

    1976.12.30.(각서), 1977.1.4.(신문) : 3

    1979.11.3.(남민전 투옥),

    1983.4.(먼 곳 교사 각서). 1984.4.(사망) : 4

    1986.11. (출근길에서의 상념, 현재 시점) : 5

.

.

.

. 작품만을 본 해석

1. 글의 종류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같은 글이 한국에 얼마나 있을까?

이 글에는 팔로4징후등의 개인적 어휘, ‘민청학련’, ‘남민전’, ‘안기부등 민주화운동이나 정치에 관련된 어휘, ‘신문’, ‘각서등 사회 및 사회적 관계 어휘, 그리고 먼 곳이라는 상징적 어휘가 사용되어 있다.

이 글이 시인가? 시가 아니면 수필인가, 진술서, 보고서인가, 그냥 잡문인가?

 

2. 구성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현재 상념(1,5) 사이에 과거 회상(24)삽입한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연들 간에 연결고리가 있다는 것이 특이하다. 1, 2연은 결근”/“조퇴”, “어떻게 살 것인가?”/“어떻게 살아야 하지?”로 연결하고, 2, 3연은 “(아버지가) 나를 업고”/“나를 큰형이 업어, 3, 4연은 각서”, “신문”, “이름으로, 4, 5연은 일터”, “큰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3. 세부 표현 분석

1) 통증이 와도 안대로 가릴 수도 결근을 할 수도 없다.

  교사인 는 일터로 가려고 단칸방에서나와서 새벽길을 시간을 따라 (걸어)가고 있다. 그런데도 왜 결근을 할 수도 없다.”생각하는 것일까? 그리고 눈에 통증을 느끼면 안대로가리면 될 텐데, 무슨 문제가 있어서 안대로 가릴 수도 없다.”는 것일까? “안대가 없어서인가?

  이렇게 통증이 와도 안대로 가릴 수도 결근을 할 수도 없다.”로 시작함으로써 전체 내용을 난해하게 하면서도 이해할 수 있는 열쇠가 큰형의 일로 안기부에게/ 각서를 써야만 했다.”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결근이란 근무해야 할 날에 직장에 나가지 않고 빠짐을 의미한다. ‘근무해야 할 날에 직장에 나가지 않음이 그날부로 직장에서 해고 사유가 된다면 그것은 결근이 될 수가 없다. 이런 의미에서 각서 본인은 학생에게 문제가 되는 일이 발생했을 때 즉각 학교를 그만둔다조건을 썼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한편 중1 때엔 는 몸이 아파서 자신의 생각대로 조퇴를 했다. 그런데 어른인 현재의 는 몸이 아프지만(“통증이 와도”) “안대로 가릴 수도 결근을 할 수도 없다.”고 생각한다. 눈 주위를 다치거나 눈이 아파서 안대로 가리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 안대로 가릴 수도 없다. 것일까?

  이 말은 가 부정적인 현재 상태와 처지나 형편에 놓여 있다거나 에게 무슨 문제가 있음을 암시한다. “는 지금 최소한 한 눈에 통증이 진행 중이어서 한 눈에만 안대를 하고 있는데(두 눈에 안대를 한다면 걸을 수 없으니까), 통증이 멈추지 않는다면 학교에서는 안대로 가릴 수가 없다는 걸 암시한다.

  학교에서는 왜 안대로 가릴 수 없는가? 안대로 가리면 무언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안대를 하고 있는 걸 누군가 봤다(감시했다)눈과 관련된 하자(한 눈을 가리면 수업을 할 수 없는 몸)’가 드러나서 교사 일을 그만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통증이 와도 안대로 가릴 수도통증이 와도 안대로 드러낼 수도반어법 표현이다.

 

2) 연결고리로 사건들 흐름 전개

  이 글은 1연의 이 부정적인 상태(“통증”) 어떻게 살 것인가?”를 생각하게 하고, 2연의 사람은 정직해야 하지”, “어떻게 살아야 하지?”란 아버지 말을 떠올리게 하고, 마지막 5연에 이르러 나는 7년 넘게 갇혀 있는/ 큰형 얼굴이라는 또 하나의 부정적인 상태를 떠올리게 한 후 어두운 곳에서 벗어나 지향하는/색깔로 시간을 만들어가는 것……이란 생각에 닿게 한다.

 

  ⓵ 연결고리로서의 조퇴하고 사건

  2연엔 가 자기 생각대로 조퇴했다는 것에 아픔/병원외에 자유를 내포하고 있다. 자유 5연의 메시지 어두운 곳에서 벗어나 지향하는/ 색깔로 시간을 만들어가는 것……과 성격이 같다, 이런 점에서 조퇴하고 5연으로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한다.

    “조퇴하고는 또한 다음 연(3: 병원/큰형)으로 가게 하는 고리 역할을 하여 큰형의 각서와 연결시키고, 이어 다음 연(4)큰형과 관련된 사건으로, 마침내는 각서로까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조퇴하고는 이 글의 중요한 소재이고 사건이다.

 

3) 암시

  ⓶ 어떻게 살아야 하지?

  “어떻게 살아야 하지?라고 한 말은 아들이 오래 살지 못한다는 것을 아버지가 병원에서 알게 되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한편 이 말은, ‘사는 동안에는 정직하게 사는 것뿐만 나니라 절실하게 살아가는 방법을 생각하라는 것을 아들에게 심어주기 위해서 암시한 말로 해석된다.

  ⓷ 각서

  한편, ‘형이 쓴 각서 를 위한 것이지만, (큰형 일에 직접 관련이 없는데도) “큰형의 일로 안기부에게” ‘내가 쓴 각서는 국가권력이 ”(개인)를 탄압한 것이고 개인은 예상할 수 없는국가권력에개 행동을 제한당하고 횡포를 당하는 대상임을 알게 해 준다. 즉 한국 자본주의 사회 또는 국가권력이 개인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만든다는 것암시하고 있다.

  ④ 투옥

  이 글엔 네 사람의 이야기로 구성되었지만, 이 중 형의 말은 없다. 이것은 형의 투옥(말을 가둠)’의 이미지와 연결된 암시이다.

  ⓹ 어휘 절룩이며암시글의 성격

  그런데 마지막 5연에서는 절룩이며 팥죽을 팔러 나가실라고 표현한 것일까? 팥죽을 팔러 나가야 할 정도로 가난한데 그 가난함을 애절한 이미지를 덧붙여 강조하려고 절룩이며로 수식한 것일까? “절룩이며가 왜 끼워져 있을까? 이 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이 글의 메시지나 해석, 성격이 달라진다.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자서전 시집 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40편 글 중 첫 글이다. 하지만 이 글을 한 작품으로만 이해한다면 그냥 개인에게 일어난 일을 다룬 글일 뿐이다. 서정적인 감정(안타깝다, 슬프다, 싫다)을 일으키는 글일 뿐이다.

 

4. 표현 수법(무비즘) / 메시지

  이 글엔 민청학련 사건, 남민전 사건 등을 만들어낸 한국 현대사에서 한 가족이 풍비박산하는 과정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새벽 출근길에서의 상념(1, 5)이 지난 시절의 일들을 둘러싼 채 흘러가는 삶의 표면/이면을 다루는 영화처럼 느껴지게 하는 표현 수법(무비즘)을 사용하였다.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을 주지 않고 아무한테나 밥을 얻어 올 수 있을까? 1 소년인 는 이런 생각을 하게 되어 서성거렸을 것이다. 그런데 스물두 살이 된 는 느리게라도(자유롭게) 걸을 수 있어서 돈을 구하려고이곳저곳 찾아다닌다. 이렇게 는 자신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임을 어린 시절부터 알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 생존(생계)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는 파산하였고, 어머니는 여인숙 일을 했고 지금은 팥죽을 팔러 나가고, 그리고 안기부에게 각서를 써야만 했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한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이 어떻게 살 것인가에 초점을 두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 그래서 민청학련이나 남민전에 가담했고 수감된 것이다.

  이 글은 인생에서 일어나는 몸의 아픔’, ‘가난(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돈 없음)’, ‘(정치적으로) 가둠 개인에게 (한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하는 삶의 문제를 가져온다는 것, 삶의 방향을 바꾼다는 것, 지향을 갖게 한다는 것메시지로 전해 준다.

.

.

. 시집과 관련한 해석

1) 해석을 위해 필요한 것들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시로 쓴 자서전인 시집 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의 첫 글이다. 이 시집엔 이 글에서 시작하는 1970년 봄에서 마지막 40번째 글 그리워할 사람, 그리워하는 사람20197월까지 =박제50년의 시간이 흘러간다. 그리고 글들 사이에 공유하는 시간(사건 또는 사정)이 펼쳐지기도 한다. 따라서 시집 속 한 편의 글은 시집 전체 내용을 감안해야만 제대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글이 역사적 사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장편 서사시의 한 장면이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암시하거나 압축하여 표현한 말들이 있다. 이 말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⓵「먼 곳 1 돈과 나와 학생들, ⓶「먼 곳 2 프리즈 프레임, ⓷「아픈 수업, ⓸「한순간만이라도 이미지를, ⓹「일상 1-1, ⓺「먼 곳 3 11월의 얼굴들과 빗물, ⓻「생의 프리즈 절규, ⓼「그리워할 사람, 그리워하는 사람, ⓽「장미의 곁에 있는 두 얼굴, ⓾「여행자와 을 읽어봐야 한다.

 

2) 시어 세부 분석

  두 눈에 안대를 하면 길을 걸을 수 없어서 출근할 수 없다. 이 점을 감안해야 한다. “볼 수 있는(연구하는) 한 눈’(→⓵,)통증이 오는 상태로 안대를 한 채 출근하려고 새벽길을 가고 있다. 그래서 안대로 가릴 수도 결근을 할 수도 없다.는 생각을 한 것이다. 이미 과거에 눈 하나가 시들었기(→⓻) 때문이다. 또한 가난해서 먹고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첫째로 1주일에 두세 번 나타나/ 주로 복도에서 지켜보고 갔고(→⓸), 둘째로 나는 안기부에게 본인은 학생에게 문제가 되는 일이/ 발생했을 때 즉각 학교를 그만둔다(→⓶,)”라는 각서를 썼다. ‘가 감시하러 오는데 통증 때문에 한 눈을 안대로 가리면 는 수업을 할 수 없어서, 그리하여 하자가 드러나서 학교를 그만두어야 한다.

어머니수감된 형들을 그리워하며’ “나팔꽃 화분을 가꾸거나”(→⓹), 고문과 폭력으로 인해(→⓼) 다리를 제대로 못 쓰게 되어서 절룩이며 팥죽을 팔러 나가는 것이다.

  “먼 곳은 이 글만 본다면 멀리 떨어져 있는 곳으로 해석되지만, 시집 전체 글을 봤다면 외에 학교명을 가리기 위해서 쓴 말’, 나를 소외시키는 곳, 나를 어둡게 하는 곳이라는 의미도 내포한 말이다. ‘먼 곳상징어이다.

, 무기수여서(→⓽) “7년 넘게 갇혀 있는 큰형얼굴을 떠올린다, 그러고는 어떻게 살 것인가?”의 답으로 아버지가 말했던 정직어두운 곳에서 벗어나 지향하는/색깔로 시간을 만들어가는 것……을 생각한다.

 

3) 객관적인 해석

  “투옥어두운 곳에 사람을 가둠이다. 사람이 밖(사회)으로 나가서 살아가는 자유를 빼앗는 일이다.

  “어두운 곳에서 벗어나 지향하는/ 색깔로 시간을 만들어 가는 것시집의 제목과 직결되는 말이며, 시집의 끝 글인 그리워할 사람, 그리워하는 사람의 마지막 연 사람마다 지향이 달라,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이유가 따로 있고 그리워할 사람이 따로 남는다.”로 이어져 이 시집의 글들이 무엇을 향하고 있는지를(어떤 철학을 담고 있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그러나 시집 전체 글을 읽지 않은 사람, 다 읽었어도 정치적 측면을 생각하고 싶지 않는 사람에겐 어머니는 언제부턴가 절룩이며 잘못 걷는 사람일 뿐이다. 이 글을 서사적인 글로 생각한다면 이 절룩이며때문에 이 글이 서사시 혹은 서정시가 될 수도 있다. 한 글임에도 전혀 다른 성격의 두 글로 보게 된다는 것이.

  이 글은 동적 이미지를 담은 절룩이며 정확한 해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열쇠있다. 이런 면에서 이 글은 리얼리즘이미지즘을 동반한 무비즘이 된다.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는 개인 혹은 가족의 비극을 드러내기 위해서 쓴 글이 아니다. 글에 민청학련”, “남민전 사건”, “안기부등으로 한국 현대사의 이면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국가권력 안기부가 사건에 아무런 관련 없는 개인(어머니, )에게 자행한 폭력(절룩이며)과 탄압(각서)이 한 사람의 자유 의지로 지향해야 할 삶을 막아버렸다는 것을 폭로하기 위해 쓴 것만도 아니다. 이 글은 글자 그대로 개인의 의지를 넘어선 힘(국가권력, 돈이 힘을 발휘하는 자본주의 사회)’이 개인을 압박하더라도 그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어떻게 살 것인가?”의 답을 생각하면서 그 답을 실천해가는 삶을 살아가라는 메시지를 남기기 위해서 쓴 것이다. 그러한 의도에서 이 글을 첫 글로 담은 시집의 제목을 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로 정한 것이다.

  이 글은 나의 중1 (1970 )부터 198611월 하순까지 17년간 살아간 시간이 흘러간다. 실제로 일어난 일들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려고 하는 창작 태도(리얼리즘: 현실주의, 사실주의)이 반영되어 있다.

.

  * “눈까풀이 가물거리고, 연구하는 눈의 눈가에 눈물 같은 액체가 끼어들고, 눈알이 너무 아파, 왼눈을 어루만진다.”() 75년에 진학했다. 그러나 새해 여름에 눈 하나, 정원의 칸나가 시들었다.() 교실에선 수업하려고 학생에게도 시선을 주어야 했지만, 교무실에선 눈을 쉬고 싶었다. 안대를 끼시제. 끼웠다 뺐다 하면 더 안 좋을 것인디.”라고 말을 걸었다. 오른쪽 눈이 눈알에 파란 기가 있는데, 혹시 의안 아니오?” 했다. 공부하다 눈을 다쳤다. 사실대로 말하지 않는 건 싫었지만 학교에서 알게 되면 나는 그만두어야 한다()

  * ‘1주일에 두세 번 나타나 주로 복도에서 지켜보고 갔다.()

  * 본인은 학생에게 문제가 되는 일이 발생했을 때 즉각 학교를 그만둔다()

  * 수감된 형들을 그리워하며 나팔꽃 시든 화분을 가꾸고 있던 어머님()

  * 어머니는 고문과 폭력으로 다리를 제대로 못 쓰게 되었고() / 어머니가 내 부은 가는 다리를 어루만지고 다시 절룩이며 들어와 ()

  * 세월은 여관방에서 여인숙을 거쳐 단칸방으로 갔다. 시월 초순에 떠났다. 순천으로 갔다. 그 후 곧 어머니가 누나랑 동지죽 장사를 시작했다. 신우염이 도져 12월 초순에 장사를 그만두어야 했다.()

  * 무기수인 형()

.

.

글 밖 실화

  우리 식료품 가게 건너편 허의원에서 의원이 나를 눕힌 뒤 팔다리에 8대의 주사를 놓았다. 그러고는 의자에 앉은 나에게 넌 어디가 아프다고 생각하냐?” 물었다. 숨쉬기기 어려워서 빨리 걷지를 못하는 나는 폐요.”라고 했다. “넌 폐가 아니라 심장이 아프단다.” 하고는 의사는 아버지에게 무슨 이야기를 했다. 택시에서 내린 나를 업고 아버지는 광주공원 부근의 광주천 변 동산에 있는 정자로 데려갔다.

  나는 몸의 결점(허약한 몸과 팔로4징후과 아버지의 파산에 따른 ‘(교과서가 없는) 가난때문에 1류 고교 진학에 실패했다. 그러고는 19732월에 졸업하자 곧 돈을 벌기 위해 신문배달을 선택했다. 번 돈으로 2년 후(1975)에 고교 진학을 하지만, 19761월에 팔로4징후(선천성 희귀 심장병)’의 합병증으로 눈을 다쳤고 몇 개월 후엔 사경에 이르렀다. 그런데 형이 모금 운동을 하여 마련한 수술비로 국내 최초 수술 성공 사례를 남긴다.

  19794(1 ), 두 형들이 남민전 조직에 관련되었다는 정보를 확보한 형사들이 집에 들이닥친 후엔 식구들이 감시받고 살아갔다. 나는 경찰서에 연행되어 취조와 폭력을 당했고, 학교에서도 감시받았다. 마침내 19791020일에 중정부에서 어머니를 연행했고 이미 연행한 작은형과 함께 고문했다. 어머니가 절룩이게 된 것은 이 일과 관계있다.

  그해 113일에 두 형이 남민전 사건으로 체포되어, 큰형은 무기형, 삼형은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나는 내 몸의 결점(너무 허약함) 때문에 구직하러 가는 곳마다 실패했지만 19833월에 요행히 임시교사로 먼 곳에 취업하게 된다. 그리고 4월에 몇 차례 안기부에서 학교로 찾아와 압력을 넣었고, 집안 형편(가난과 형들이 감옥에 있음) 때문에 어쩔 수 없이 4월 하순에 각서를 써야만 했다.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198611월 새벽에 목포행 버스를 타고 출근하려고 유동 슬픈 방(단칸 방)’을 나와 대인동 공용터미널로 향해 걸어가는 길에서 떠오른 현재 생각(1, 5)과 과거 일(24)을 사실 그대로 적은 것이다.

.

.

.

2019-07-28 문학들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통증이 와도 안대로 가릴 수도 결근을 할 수도 없다.

  교육관이 뭐냐고? 글쎄요. 어떻게 살 것인가?를 생각했을 뿐.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조퇴하고 가게에 들른 나는 서성거리다 집으로 갔다.

  어디 가서 얻어 온 거냐?

  집에 가서, 가지고, 왔어요.

  그럴 줄 알았다. 사람은 정직해야 하지. 그런데,

  말이 더 이어지지 않아서, 나는 심장이 뛰고 초조했다.

  허약한 애한테 너무 뭐라 하지 마시오.

  엄마가, 엄마의 목소리가 스며들자

  아버지가 밥 한 숟가락에서 몇 알 떼어 큰형 이름 적힌 편지 봉투에 바른다.

  그러곤 갑자기 손을 잡아채어 불안하게 하면서 밖으로 걸음을 뗐다. 나는 우리 가게 앞 큰길을 건너 의원으로 들어갔다.

  의원에서 나오는 길로 아버지가 택시를 잡았다. 나를 업고 올라가, 동산 위 정자에 앉혀 놓았다.

  광주천이 내려다보이는 정자에 아버지가 서 있어서, 나는 불안한데

  어떻게 살아야 하지?

  아버지의 소리가 해 질 무렵에 귀를 타고 머리에 박혔다.

  이 년 후 1974년에, 아버지가 집을 잃고 서울로 갔다, 큰형이 민청학련 사건으로 수감되었다.

 

  열아홉 살 다 지나가는 1976년 겨울, 서너 걸음 걷다가 쓰러지는 나를 큰형이 업어 서울 병원으로 데려갔다, 팔로4징후였다. 큰형이 각서를 썼다. 무슨 소리가 들리고 엄마가 보인다. 기자라 한 사람이 물었고 오후에 큰형이 가져온 신문에 해가 바뀌고 며칠이 지난 시간과 국내 최초 성공, 내 이름이 실려 있다.

 

  스물두 살 내가 느리게라도 걸을 수 있어 돈을 구하려고 이곳저곳 찾아다니고, 11월에 본 가판대, 신문에 적힌 사건, 큰형 이름. 눈물이 날 듯하고 느끼는 초라한 마음. 남민전 사건으로 큰형이 투옥되었다! 나는 부실하여 감당할 만한 일터를 먼 곳에서 구했다, 스물여섯에, 교사가 되었고, 큰형의 일로 안기부에게 각서를 써야만 했다, 13개월 후에 아버지가 떠났다.

 

  어머니는 한진여인숙을 접고, 단칸방에서 일터로 갈 사람을 깨우고 그 후엔 나팔꽃 화분을 가꾸거나 오후엔 발을 절룩이며 팥죽을 팔러 나가실 텐데

  새벽길에서 나는 7년이 넘어도 집에 오지 못하는 큰형 얼굴을 떠올린다, ‘어두운 곳에서 벗어나 지향하는 색깔로 시간을 만들어 가는 것……으로 생각을 이어간다.

 

 

  * 남민전(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건: 19762월에 반유신 민주화와 민족해방을 목표로 결성된 비합법 지하조직. 197911월에 종결. 이재문은 198111월 감옥에서 사망하였고, 신향식은 198210월 사형이 집행되었다. 안재구, 임동규, 이해경, 박석률, 최석진 등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고, 김남주 이수일, 박석삼 등은 징역 15년 형을 선고받았다. 관련자들은 형 만기 등으로 1988년까지 모두 석방되었으며 2006년에는 관련자 중 최석진, 박석률, 김남주 등 29명이 반유신 활동을 했다는 점을 근거로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되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2019-06-032019.07.28. 11:37 <원작 원고 원본> =

문학들572019 가을(2019.08.30.)

<원작 원고 원본>엔 당시 상황이 조금 부정확하게 (‘ /서너 걸음’)로 적혀 있다. 그래서 개작(정정)을 하였다.

.

.

사진

1975년 2월 민청학련 사건 관련 큰형이 석방된 날

  19752월 민청학련 사건 관련 큰형이 석방된 날

.

아버지, 어머니

  아버지, 어머니

.

어머니, 큰형, 나(박제) . img408

  어머니, 큰형, 나(박제). img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