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시 224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 2
나의 무비즘 (174), 실존주의 앙가주망 (97), 아방가르드 (65), 사상시 (27)
2022-09-06
박석준 /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 2
하지만 시간은 어떤 사람에게든 다르게 흐르는 것이니까
2022년 8월 여름에
광명역에서 지하철 타고 서울로 간다는 형과 헤어져
광명역에서 KTX를 타고 나는 광주로 돌아갔다.
흐르는 도시 여름 9월 6일의 광주 쇼윈도 거리에서
태풍이 지나가고 난 낮
한 사람 혹은 사람들이 거리의 상인을 찾아 가게로 가고
내가 본 사진 ‘애비뉴 데 고블랭’*에 담긴 것
―쇼윈도 속 서 있는 가격표 붙은 양복을 입은 마네킹들
을 세 어린이가 보더니 개와 함께 질주한다.
녀석은 자전거에 미친 놈이단께.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서 타다가 넘어져서 다쳤는데
러시아가 사회주의 사회라서 그런가
치료를 해주고 돈은 안 받더라고 하네요, 겨울인데.
그나저나 주식 주가 하락해서 나 2천만 원 날렸죠.
하는 말과 아침이 후배의 차, 차 안 후배의 얼굴
아래의 파란 티셔츠와 함께 쇼윈도 거리에서 흘러간다.
나는 쇼윈도 거리를 걷는 현대의 햄릿이다.
―건물들 가로 많은 사람이 걷는 눈 쌓인 거리 위에 선
손에 책을 든 코트
입은 러시아 혁명기 시인이자 의사
지바고 오마 샤리프
오마 샤리프의 얼굴 아래의 코트*―
기차, 거리에서 죽는 지식인 ‘살아 있는’ 지바고가
뇌리에 서 있다.
* 애비뉴 데 고블랭(Avenue des Gobelins) : ‘현대 사진의 아버지’, ‘카메라의 시인’이라 불리는 프랑스의 사진작가 외젠 앗제(Eugène Atget, 1857-1927)의 예술사진(1925).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1890-1960)의 러시아 혁명을 담은 소설 《의사 지바고》(1957)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 《닥터 지바고》(1965)에 배우 오마 샤리프(1932-2015)가 지바고로 출연한 장면.
.
2022-09-06 ∼ 2022-12-08 오후 3:32 (코트―) <원작>
= 2022-12-14 오후 07:25. 카페, 가난한 비, 거리에 움직이는 사람들, 무비이즘-선경-박석준-2022-12-14.hwp (원작 원본)
= 2023-01-09 오후 01:29.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니-박석준-2023-91-09-교-분석.hwp (원작 날짜)
↛ (오교정: 코트 ) 시집_『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니』(2023.03.20. 푸른사상)
.
.
실제상황
2022-09-06. 광주시
.
.
Ⅰ. 객관적 해석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 2」는 탈 것(지하철, KTX, 차, 자전거, 기차)과, 옷(양복, 티셔츠, 코트)이라는 2가지 소재가 연상을 일으켜서 사건을 시상을 끌어가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자본주의’, ‘혁명’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시간’에 관한 시인의 생각(시간은 어떤 사람에게든 다르게 흐르는 것)으로 유도한다. 사상시를 만들어낸다.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 2」는 ‘시간은 어떤 사람에게든 다르게 흐르는 것인 까닭에 지식인은 역사와 문화, 자신의 소명에 대해 성찰해야 한다.’는 생각을 무비즘 기법을 사용하여 시 형식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코트”는 ‘지식인의 성찰’을, “기차”는 ‘혁명’을 상징하는 어휘이다.
시상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KTX를 타고 광주로 돌아간 “나”는, 태풍이 지나가고 난 낮 여름 9월 6일의 광주 쇼윈도 거리에서 사람들이 거리의 상인을 찾아 가게로 가는 광경을 본 후 쇼윈도 속 서 있는 가격표 붙은 양복을 입은 마네킹들을 세 어린이가 보더니 개와 함께 질주하는 광경을 보고는 아침 일을 떠올린다.
아침에 “나”는 티셔츠 입은 후배의 차에 탄 채 광주 쇼윈도 거리에 있었다. 후배는 ①녀석(자전거 타기 마니아)이 겨울 러시아까지 가서 자전거를 탔고 ‘타다가 넘어져서 다쳤는데 치료를 해주고 돈은 안 받더라’라고 한 말을 전했고 ②자신은 주가 하락으로 돈을 날렸다고 말했다.(“그나저나 주식 주가 하락해서 나 2천만 원 날렸죠. /③하는 말과 아침이 후배의 차, 차 안 후배의 얼굴 /아래의 파란 티셔츠와 함께 쇼윈도 거리에서 흘러간다.” 이 글은 ③에서 아방가르드 경향으로 들어간다.)
그러고는 “나”는 쇼윈도 거리에서 내렸고 후배는 차를 몰고 쇼윈도 거리를 떠났다.
녀석의 자전거 타기는 그것이 러시아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두 사회(자본주의 사회, 사회주의 사회)에 ‘혁명은 필요 없는 일임’을 암시한다. 그리고 러시아 혁명기의 지식인 지바고를 끄집어낸다. (후배의 티셔츠로 인해 오마 샤리프의 얼굴 아래의 코트를 떠올려냈고, 닥터 지바고를 연상했다고 보아도 된다./지바고는 러시아 혁명기를 살아간 지식인이었으나 ‘개개인의 노력이나 투쟁 혹은 어떤 외적인 충격으로는 역사의 흐름을 바꾸어놓을 수 없다. 역사 위에 더 높고 숭고한 원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어 ‘지바고의 코트’로 연상을 불러일으키고, 이 연상이 양복 입은 마네킹들에 붙은 가격표를 연상하게 함으로써 돈이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정치로, 비정함(비인간화)이 깊어지는 자본주의 사회의 문화로 생각을 옮겨가게 한다. 결국 녀석의 자전거 타기는 돈이 쾌락 욕구를 다양하게 발산시키고 충족시키는, 정치와 문화를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의 현실 세태를 드러내는 예가 되어버린다.
녀석의 자전거 타기는 한편으로 “시간은 어떤 사람에게든 다르게 흐르는 것”이라ᅟᅳᆫ 시인의 메시지를 대변한 행위라고 해석된다. 그러나 “나”는 녀석의 이런 행위에 두려움을 느끼고 회의를 느끼는 듯하다.
쇼윈도 거리를 걷는 “나”는 후배의 티셔츠로 인해 오마 샤리프의 얼굴 아래의 코트를 떠올려냈고, 닥터 지바고를 연상하여 기차, 거리에서 죽는 지식인 지바고로 생각을 이어간다. 지바고는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기의 지식인이었으며, ‘지식인의 죽음’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이 작품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 2」에 나타난 현대의 기차 여행은, 혁명(헌법의 범위를 벗어나서 국가의 기초, 사회의 제도, 경제의 조직을 급격하게 근본적으로 고치는 일)이라는 역사적 일(또는 의식)과는 관계없이 진행되는 역사외 시간과 역사외 개인의 의식을 보여주는 요소이다. 이 여행은 한국 사람인 자전거 타기 마니아가 러시아까지 가서 자전거 탄 것(탄 시간)과 같은 색깔의 일이며, 이 여행의 ‘기차’는 그 개인적 시간을 위한 도구일 뿐이어서, 러시아 혁명기의 혁명을 상징하는 지바고 시대의 ‘기차(앞으로 나아간다는 데서 미래 지향의 의미를 지닌 것)’와는 완전히 색깔이 다르다.
이 글은 “기차, 거리에서 죽는 지식인에겐 ‘살아 있는’ 지바고가/뇌리에 서 있다.”로 끝난다. 이것은 지식인은 현대 자본주의 한국 사회의 비인간화한 현실 양태에 비판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앙가주망이라는 자기구속이 필요하다는 것을 메시지로 흘려낸다.
이 글에서 몇 기법을 보게 된다.
* 서술 + 의식의 흐름
* 연상 기법 + 계절 급변(여름에서 겨울로)
(지하철-KTX-여름 광주 →
쇼윈도 거리-마네킹-질주한다 →
넘어져서 다쳤는데-러시아-겨울-얼굴 아래의 티셔츠 →
눈 쌓인 거리-코트-의사 지바고 오마 샤리프-
오마 샤리프 얼굴 아래의 코트 →
기차, 거리에서 죽는 지식인 ‘살아 있는’ 지바고)
* 아방가르드와 무비즘
(하는 말과 아침이 후배의 차, 차 안 후배의 얼굴 /아래의 파란 티셔츠와 함께 쇼윈도 거리에서 흘러간다.)
* 상징
쇼윈도 거리 : (한국 자본주의 사회의 도시)
마네킹 : (자본주의의 물신화/비인간성/비정함)
지하철/KTX/차/자전거/티셔츠 :
(돈이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다양한 시간)
코트 : 지식인의 성찰
기차 : 혁명
* 암시
세 어린이가 보더니 개와 함께 질주한다. :
(‘자본주의 사회의 물신화 비인간화’에 대한 두려움)
* 대조
(후배의 얼굴 아래의 파란 티셔츠/
오마 샤리프의 얼굴 아래의 코트)
* 영화 장면 삽입
.
.
※ 창작 노트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 2」는 2022-09-06일에 나에게 스쳐간 실제 상황과 상념을 시 형식으로 표현한 글이다. 이날 오전에 후배 제영이 광주 푸른마을로 찾아왔고 그의 차 안에서 나의 후배인 자전거 타기 마니아의 소식을 전해주었다.
나는 시집에 수록할 마지막 작품으로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이라는 제목으로 2022-09-06일에 초고를 썼다.(← ‘서시’를 책의 맨 마지막에 둘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여기엔 ‘시인의 말’을 서시로 써서 넣으면 된다는, 즉 서시가 2개 있어도 상관없다는 생각도 들어갔다.) 그런데 10월에 「추풍오장원」을 쓰게 되어서 ‘2’를 붙이게 된 것이다.
그런 후 새 글 「서시 (시인의 말)」 초고를 2022년 12월 22일에 썼다. 그런데 이 글을 편집자가 오인하여 「시인의 말」로 교정했는데 오교정한 것이 시집으로 인쇄되었다.
.
.
(초고) 2022-09-06 ∽ 2022-09-07
서시
― 역사외 개인의 의식
하지만 시간은 어떤 사람에게든 다르게 흐르는 것이니까
2022년 8월 여름에
광명역에서 지하철 타고 서울로 간다는 형과 헤어져
광명역에서 KTX를 타고 나는 광주로 돌아갔다.
흐르는 도시 여름 9월 6일의 광주 쇼윈도 거리에서
태풍이 지나가고 난 낮
한 사람 혹은 사람들이 거리의 상인을 찾아 가게로 가고
내가 본 사진 ‘애비뉴 데 고블랭’*에 담긴 것
―쇼윈도 속 서 있는 가격표 붙은 양복을 입은 마네킹들
을 세 어린이가 보더니 개와 함께 질주한다.
녀석은 자전거에 미친 놈이단께.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서 타다가 넘어져서 다쳤는데
러시아가 사회주의 사회라서 그런가
치료를 해주고 돈은 안 받더라고 하네요, 겨울인데.
그나저나 주식 주가 하락해서 나 2천만 원 날렸죠.
하는 말과 함께 쇼윈도 거리에서 흘러가는, 후배의 차
전날 오전의 후배의 얼굴 아래의 파란 티셔츠를 의식한다.
나는 쇼윈도 거리를 걷는 현대의 햄릿이다.
―건물들 가로 많은 사람들이 걷는 거리 눈 쌓인 길 위에
선 손에 책을 든 코트
입은 어른이 되어 의사가 된
지바고 오마 샤리프
오마 샤리프의 얼굴 아래의 코트*
기차, 거리에서 죽는 지식인 ‘살아 있는’ 지바고를
나는 떠올린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1890-1960)의 소설 《의사 지바고》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 《닥터 지바고》에 배우 오마 샤리프(1932-2015)가 지바고로 출연한 장면.
* 애비뉴 데 고블랭(Avenue des Gobelins) : ‘현대 사진의 아버지’, ‘카메라의 시인’이라 불리는 프랑스의 사진작가 으젠느 앗제(Eugène Atget, 1857-1927)의 예술사진(1925).
.
2022-09-06 오후 06:11 ∽ 2022-09-07 오후 4:03 (초고)
= 2022.09.10. 15:14.내메. 카페, 가난한 비, 거리에 움직이는 사람들, 무비이즘-선경-박석준.hwp (초고 원본)
= 2022-09-11 오전 01:09. 카페, 가난한 비, 거리에 움직이는 사람들, 무비이즘.hwp (초고 날짜)
.
.
사진
지바고 역을 한 오마 샤리프
.
지바고와 라라
.
애비뉴 데 고블랭
.
푸른마을 쇼윈도 거리 20211112_16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