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시 (창작년도)

나의 무비즘 (44), 리얼리즘 (16) 침묵 수업 / 박석준

나의 신시 45 침묵 수업

나의 무비즘 (44), 리얼리즘 (16)

1996-04

박석준 /

<원작>

침묵 수업

 

 

  선생님의 가벼운 몸을 안쓰러워하거나 생각을 물어올 정도로 애들이 가까이해주는 시간이 누적되었다. 그럼에도

 

  “선생님, 설명은 필요 없어요. 그냥 답만 적으면 돼요.”,

  아이들이 요구했다, 2 교실의 칠판에 적어놓은 언어

  영역 문제들에 대한 선생의 설명을 거부했다.

  무엇 때문에 학교에 온 거지? 애들이나 나나. 생각했다.

  “설명은 필요 없다고?”라고, 964월에 물었다.

  “, 설명하지 마세요. 나중에 자습서 보면 되니까요.”

  “그러면 나는 칠판에 문제만 적어주면 된다 이거죠?”

  “, 그냥 문제하고 답만 적어놓으세요.”

  “알았어요. 정 원한다면 앞으로 나는 적기만 할 테니까,

  자습서를 보든 뭣을 하든 알아서 하세요.”

  나는 더 이상 을 하지 않았다.

  단지 시간이 흘러 그 수업이 끝나고 말았을 뿐.

  다음 날엔 그 교실에서 인사도 주고받음이 없이 나는

  칠판에 적기만 했다. 선생이 교실에 들어오고 20분쯤

  흐른 동안 주위 사람들하고 이야기를 주고받는 소리는

  점차 사라져갔다. 애들도 적기는 했을 테지만.

  그 다음 날에는 선생과 애들이 적는 행동을 의식적으로

  했을 뿐 교실 사람들 사이엔 아무런 말이 오감이 없었다.

  그리고 그러한 상태로 4일이 더 지나갔다.

  애들은 어떻게 해달라거나 어떻게 하고 싶다는

  말은커녕 다른 어떤 말도 꺼냄이 없이 국어 시간에

  문제와 답만을 적어놓고선 그저 앉아 있을 뿐이었다.

  8일째 되는 날 마침내 내가 입을 열었다.

  “자습서들 보고 있는 거죠?”라고. 애들은

  “아뇨, 처음엔 보려고 했지만 재미가 없어요.”

   잘못했어요. 선생님 말씀 잘 들을게요. 설명해주세요.

  “선생님이 말을 안 하시니까 무서워요.”

  와 같이 자신의 심정을 털어놓았다. 그리하여 나는

  8일 만에 선생으로서의 설명의 말을 해가게 되었다.

  내가 만일 당면한 상황에 대한 애들의 인식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무엇을 하라고 요구하거나 명령한다면,

  대개의 애들은 선생()이 무서워서 그대로 하려고 할

  것이다. 그들에게 분명히 자기 나름의 판단이 있음에도.

.

2020-03-24 오후 6:13 (거부하는 행위였.) (초고)

2020.04.13. 11:58.. 2020_04(박석준)원고-교정본.hwp (거부.) <원작 원본>

= 시집_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2020.05.25. 푸른사상)

.

.

실제 상황

    1996.4.

.

.

. 객관적 해석

  「침묵 수업8개의 날에 한 공간에서 학생(애들)과 선생이 과 관련한 행동을 펼쳐냄으로써 그들 사이에 관계를 보여준다. 행동이 ‘(선생의 설명을 거부했다 / 주고받는 말소리는 점차 사라져갔다 / 아무런 말이 오감이 없었다 / 마침내 내가 입을 열었다 / 잘못했어요 설명해주세요)’로 행동이 이어짐으로써 관계가 변화한다. 그런데 이 행동들이 을 해야 하는 언어 영역과 관련해서 벌어졌다는 점에서 풍자적인 느낌을 준다.

  선생과 학생의 의식이 객관 현실의 전체상을 향해 운동해감으로써 현실의 본질적 측면을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이 글은 리얼리즘을 반영하였다. 한 장소에서 사람들의 행동들이 변증법적으로 변화하는 양태(장면들)를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보여주는 무비즘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 중심소재인 이 글은 어느 날 힘의 측면에서 선생님보다 우위에 있다고 판단한 학생들이 상대방의 활동 범주를 그냥 문제하고 답만 적어놓는 것으로 제한하고 행동(설명 거부)함으로써 말의 힘을 실현했고 그 다음 날에도 계속 실현했고 그 다음다음 날에도 실현한다, 힘에서 우위에 있는 학생이 가벼운 몸(허약한 몸을 지닌) 선생님을 말로써 통제한다. 힘 있는 사람은 힘이 약한 상대방을 통제할 수 있다(통제하기가 쉽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그런데 이 글은 잘못했어요. 선생님 말씀 잘 들을게요. 설명해주세요.라는 말로써 관계가 다시 변한 것을 표현했다. 이것은 눈앞에 있는 보이는 존재가 말이 없을 때 나에게 무서운 존재가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관계가 변하는 표현은 기형도 시인의 전문가필요한 시일이 지난 후, 동네의 모든 아이들이/충실한 그의 부하가 되었다에서도 볼 수 있다.)

  이 굴에는 대개의 애들은 선생(의 말)이 무서워서 그대로 하려고 할 것이다.”에 위치의 힘으로 길들여서 통제(명령)하려는 자에 대한 비판이 깔려 있다.

.

.

. 이 글과 관련한 1996년의 나

  「침묵 수업은 나(박석준)의 자서전 시집 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에 수록되었는데, 이 글에 이어진 글 유동 뷰티에는 다음의 표현이 있다.

 

    소안 배 확보 운동을 하고, 969월 첫 토요일,

    주의보로 인해 2주일 만에 유동에 올 수 있었던 39

    37킬로인 아픈 나에게 어머니가 절룩이며 속삭였다.

 

  이 두 편의 글은 내가 39살 때인 1996년에 소안중학교 3학년 국어 교사로 근무하는 시절에 일어난 사건들과 나의 생각이 담긴 시 형식으로 쓴 실화이다. 나는 침묵 수업사건의 시발점이 내 몸이 너무 가벼운(허약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고심을 한 끝에 찾아냈다. ‘아이들이 나를 낯선 사람으로 여기도록 하자. 장난을 걸어와도 내가 아무런 말을 안 하면 나를 무서워하겠지.’라는 묘안을.

  나에겐 뇌리에 침묵 수업기형도 시인의 시 전문가로 이어지거나, 전문가침묵 수업으로 이어져 흘러간 적이 종종 있었다.

.

.

기형도 시인의

전문가(專門家)

 

 

  이사 온 그는 이상한 사람이었다 (판단)

  그의 집 담장들은 모두 빛나는 유리들로 세워졌다 ( 묘사 )

 

  골목에서 놀고 있는 부주의한 아이들이

  잠깐의 실수 때문에

  풍성한 햇빛을 복사해내는

  그 유리담장을 박살내곤 했다 ( 설명 )

 

  그러나 얘들아, 상관없다

  유리야 또 갈아 끼우면 되지

  마음껏 골목에서 놀렴 ()

 

  유리를 깬 아이는 얼굴이 새빨개졌지만

  이상한 표정을 짓던 다른 아이들은

  아이들답게 곧 즐거워했다 (묘사)

  견고한 송판으로 담을 쌓으면 어떨까 ()

  주장하는 아이는 그 아름다운

  골목에서 즉시 추방되었다 (설명)

 

  유리담장은 매일같이 깨어졌다

  필요한 시일이 지난 후, 동네의 모든 아이들이

  충실한 그의 부하가 되었다 (설명)

 

  어느날 그가 유리담장을 떼어냈을 때, 그 골목은

  가장 햇빛이 안 드는 곳임이

  판명되었다. 일렬로 선 아이들은

  묵묵히 벽돌을 날랐다 (설명/묘사)

 

  * 이 시에는 그로테스크 리얼리즘(Grotesque Realism) 경향이 반영되었다.

.

.

(초고) 2020-03-24 (거부하는 행위였.)

침묵 수업

 

 

선생님의 가벼운 몸을 안쓰러워하거나 생각을 물어 올 정도로 애들이 가까이 해주는 시간이 누적되었다. 그럼에도

 

선생님, 설명은 필요 없어요. 그냥 답만 적으면 돼요.”,

아이들이 요구했다, 2 교실의 칠판에 적어 놓은 언어

영역 문제들에 대한 선생의 설명을 거부하는 행위였.

무엇 때문에 학교에 온 거지? 애들이나 나나. 생각했다.

설명은 필요 없다고?

, 설명하지 마세요. 나중에 자습서 보면 되니까요.”

그러면 나는 칠판에 문제만 적어 주면 된다 이거죠?”

, 그냥 문제하고 답만 적어 놓으세요.”

알았어요. 정 원한다면 앞으로 나는 적기만 할 테니까,

자습서를 보든 뭣을 하든 알아서 하세요.”

나는 더 이상 말을 하지 않았다.

단지 시간이 흘러 그 수업이 끝나고 말았을 뿐.

다음 날엔 그 교실에서 인사도 주고받음이 없이 나는

칠판에 적기만 했다. 선생이 교실에 들어오고 20분쯤

흐른 동안 주위 사람들하고 이야기를 주고받는 말소리는

점차 사라져 갔. 애들도 적기는 했을 테지만.

그 다음 날에는 선생과 애들이 적는 행동을 의식적으로

했을 뿐 교실 사람들 사이엔 아무런 말이 오감이 없었다.

그리고 그러한 상태로 4일이 더 지나갔다.

애들은 어떻게 해 달라거나 어떻게 하고 싶다는

말은커녕 다른 어떤 말도 꺼냄이 없이 국어 시간에

문제와 답만을 적어 놓고선 그저 앉아 있을 뿐이었다.

8일째 되는 날 마침내 내가 입을 열었다.

자습서들 보고 있는 거죠?”라고. 애들은

아뇨, 처음엔 보려고 했지만 재미가 없어요.”

잘못했어요. 선생님 말씀 잘 들을게요. 설명해 주세요.”

선생님이 말을 안 하시니까 무서워요.”

와 같이 자신의 심정을 털어놓았다. 그리하여 나는

8일 만에 선생으로서의 설명의 말을 해 가게 되었다.

내가 만일 당면한 상황에 대한 애들의 인식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무엇을 하라고 요구하거나 명령한다면,

대개의 애들은 선생(의 말)이 무서워서 그대로 하려고 할

것이다. 그들에게 분명히 자기 나름의 판단이 있음에도.

.

2020-03-24 오후 6:13 (초고)

= 2020.03.24. 18:49.내메. 박석준-3시집-0618-12-105()-5-93-1.hwp (초고 원본)

.

.

사진

소안중학교에서 근무한 시절. img335

  소안중학교에서 근무한 시절. img335

.

나-주빈_  소안중학교 아래 바닷가. img326

  나-주빈_소안중학교 아래 바닷가. img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