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시

나의 무비즘 (18), 실존주의 앙가주망 (13) 그 술집 / 박석준

나의 18 그 술집

나의 무비즘 (18), 실존주의 앙가주망 (13)

1985-04

박석준 /

그 술집

 

 

  854월 중순의 어느 날, 퇴근할 무렵 김재일 선생이

  알려준 구 터미널 옆에 있다는 술집을 찾아갔다.

  5시 반, 약속 시간에서 10분이 지났다.

  나는, 그가 작년 여름방학 때 광주로 찾아와준 일이

  이미지로 남아서 만남을 수락했을 뿐, 그 후

  아무런 만남 없는 사이여서, 더 기다리지 않아도 되었다.

  그럼에도 그냥 가버릴 수도 없어서, 마음을 다잡았다.

  문을 여는 소리에 나는 시선을 던졌다.

  “김재일 선생하고 윤보현 선생도 곧 올 거요.”

  라고 지학 선생이 자기가 나타나게 된 사유를 말하더니

  자신의 건강함과 그 비결이 냉수마찰과 등산에 있다고

  말하고 내 몸을 걱정했다. 막걸리를 서로 간에

  서너 잔째를 따른 때였다.

  “아이고, 늦어서 정말 죄송합니다.”

  한 김 선생을, 이어 들어와 시선이 마주치자

  “박 선생, 정말 미안하요.” 하는 윤 선생을 보게 되었다.

  지학 선생이 내 곁으로 자리를 옮긴 뒤, 주보

  두 사람에게 술을 따랐다.

  “미안하요. 미리 말하면 응해주지 않을 것 같아서.

  두 분이 이야기를 풀어가면 좋을 것 같소.”

  나는 김 선생의 말에 상황이 배제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요? 무슨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가자는 겁니까?”

  학기초의 일이 떠올라 나의 목소리는 조금 떨고 있었다.

  “아무리 박 선생님이 말없는 사람이라고 해도 이거는

  너무 불공평해요. 어떤 사람은 해마다 국어, 현대문만

  맡는데, 박제 선생은 2년씩이나 국어책을 못 잡아보니!

  나는 고문이라도, 국어 그림자라도 밟으니까 나은 거죠.”

  여선생이 찾아와 말했다. 2년째 한문만 가르치는 나에게.

  “이미 지나쳐버린 일로 두 분 다 마냥

  괴로워하고만 지낼 수는 없지 않소?”

  나의 말에 먼저 반응을 보인 사람은 김 선생이었다.

  내가 무능해서 가 취한 조치라고 생각했는데,

  학력고사에 한문 과목이 6문제만 출제되는 걸 아는

  아이들은 곧 한문과 한문 선생인 나를 소원했다.

  어머니는 쫓아내지 않은 것을 다행이라 여기라고,

  몸이라도 덜 아플 것이니 다행이라 여기라고 했다.

  나는 아이들에게서 멀어져가는 것에 안타까웠지만.

  “내가 괴롭다고 하던가요? 지나쳐버린 일이라고요?”

  내 말이 떨어지자 윤 선생이

  “그건 김 선생이 말을 잘못한 거요.”라 말하고는,

  “박제 선생한테 괴로움을 주고 만 것 같아 죄송스럽고,

  또 내 자신이 잘못한 것 같아 괴롭기도 하고…….”

  하여, 나를 복잡한 감정의 넝쿨 속으로 빠져들게 하였다.

  “내년에는 절대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소. 믿어주시오.”

  나는 괴로웠다. 그도 괴로워하고 있다는 것이 싫었다.

  “믿어요. 생각이 있으면 이보다 더 좋은 만남이 있을

  거라는 걸. 저는 가겠습니다. 술기운도 올라오고.”

  그 후 879월 광주·전남지역 교사협의회가 결성된 날

  결성식 직후 광주 전일다방에서 윤 선생과 다시 만나게

  되었다. 그리고 89년에 윤, 김 포함 9인이 해직되었다.

.

2020-03-19 오후 8:33 2020.04.13. 11:58 (약속 시간) (초고)

2020-04-23. 14:28 (약속 시간에서) <원작 원본>

= 시집_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2020.05.25. 푸른사상)

.

.

실제 상황:

    1985-04, 구 터미널 근처(시장 근처) 술집

.

.

. 시집과 관련한 해석

  19834월에 모순된 현실을 만들어낸 것이 안기부”, “형들의 민주화운동(남민전 사건)” 그리고 였다 하더라도, “(박제)”가 어지럽고 어려운 처지에 놓인 것은 의 부족함 때문이었다. 어떻게 해소해야 할 텐데,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이런 생각이 들었으나, “도리불언하자성혜(桃李不言下自成蹊): 복숭아와 오얏은 말을 하지 않지만, 그 나무 밑에는 길이 저절로 생긴다.’란 길을 택했다. 그리고 2년이 흘러간 후에야 사람들이 에게로 왔다. 우리는 진실된 말을 털어놓을 수 있는 상황을 접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 술집에 대해 이 글은 어려운 처지를 극복하려는 한 교사의 삶의 의지에 초점을 두었다.’고 해석했다면 그것은 세상에 대한 안목의 정교함이 부족한 데서 연유한 것이다. 이 글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 이 글이 실린 자서전적 시집 시간의 색깔은 자신이 지향하는 빛깔로 간다에 나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날 교사들간의 모순이 해소됨으로써 먼 곳의 교사들은 전남민주교육추진 교사협의회 창립(1987.09.27.)과 전교조 건설(1989.05.28.)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그 술집은 실제로 현실(일어난 사건과 사정)을 그대로 묘사·재현하려고 쓴 리얼리즘에 바탕을 둔, 시공간을 이동한 무비즘 기법이 사용된 글이다.

.

.

리얼리즘

  리얼리즘(Realism)은 근현대 예술의 한 부류로 일반적으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재현하려고 하는 창작 태도이다. 리얼리즘을 일단 사실주의로 번역하긴 하지만, 사실 현실주의(現實主義)” 등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다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A6%AC%EC%96%BC%EB%A6%AC%EC%A6%98

.

리얼리즘

  리얼리즘은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 가치 ·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예사조이다.

  사실주의(또는 현실주의)res(실물)에 어원을 둔 realism의 역어이다. 경험적인 현실 외의 이상적·초월적 세계의 존재 증거가 없다고 보는 일원론적 세계관에서 진리나 진실, 미학적 가치, 예술창작의 방법 등을 뭉뚱그려 통칭한다. 따라서 이상주의적 경향(고전주의·낭만주의·심미주의 등)과 자의식(自意識)의 절대성 및 회의주의를 바닥에 깔고 있는 모더니즘(modernism)과 대립된다.

  리얼리즘은 당대 사회의 객관적 묘사로 보는 19세기의 근대 리얼리즘(사실주의, 자연주의), 사회적 변혁 이데올로기와 결합된 리얼리즘(변증법적 리얼리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두 갈래로 대별할 수 있다. 19세기의 리얼리즘은 당대 사회현실의 객관적 묘사, 또는 있는 그대로의 세계의 반영을 특색으로 한다.

  현실의 본질이 바로 모순이며, 그 모순의 극복이 리얼리즘의 핵심이므로, 1980년대에 이르러 모순의 근원을 사회의 여러 국면에서 다양하게 추구한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781

.

.

사진

나 (1985, 28살), 은성여관 옥탑방

.

전교협(전국교사협의회) 창립 (1986.09.27.)_ 한신대_서울

.

1987.08.25. 전남교사신문 제 2 호

      (1987.09.04. 전남민주교육추진 교사협의회 창립_광주YM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