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시

나의 무비즘 (1) 언덕의 아이 / 박석준

나의 1 언덕의 아이

나의 무비즘 (1)

1966

박석준 /

언덕의 아이

.

  나의 글에는 언덕의 아이언덕의 말이 있다. ‘언덕이라는 장소는 이외에 남민전 사건을 다루는 글 등 몇 편의 글들에서도 나오는데, 첫사랑과의 헤어짐, 친구와의 헤어짐 후에 나는 고독하다라는 생각이 들어 찾아가게 된 때문인지는 모르나, 나에겐 언덕이라는 장소 혹은 말이 중요한 의미로 남았다.

 

  나는 첫 친구를 국민학교(초등학교) 입학하기 1년 전(1963)에 사귀었다. ‘맥아더를 좋아한 명현이라는 이 친구는 우리 집의 길갓방에서 셋방살이하는 가정의 아이였는데, 나에게 (종이를 말아서 불붙여 피우는) 담배 피우기를 가르쳐주었고, 입학 직전에 소리 없이 이사했다. 이것은 내가 겪은 첫 번째 이별이었다.

  그리고 입학하여 국주, 길수, 김정호하고는 같은 반으로 학교를 다녔고 다른 학교에 다니는 우리 집 앞 골목에서 사는 상록이하고도 친구로 지냈다.

 

  한데 내가 가장 친해지고 싶은 아이는 짝 장재선이다. 영화배우처럼 잘생긴 아이인데, 1학년 종업식하는 운동장에서 내 옆에 서 있다가 엄마 손에 잡히어 사라져갔다. 이것이 나의 두 번째 이별이다. 이날 운동장에서 들었던 노래를 잊지 못하다가 20살 넘어서 우연히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제목이 슈만의 <어린이의 정경>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거의 날마다 찾아온 정호는 맹호부대 이야기를 해주거나 새로운 것들을 알려주었다. 하지만, 3학년 된 얼마 후 상록이네가 이사해서 나는 부모 모르게 결석을 하곤 했다.

 

  마음 둘 곳 없는 나를 4월경에 여자아이가 찾아왔다. 동갑인 혜자라는 아이인데 명현이가 살던 집에 이사 온 그날부터 대문 옆 나의 방에 놀러왔다.

  며칠 안 되어 우리 둘은 살림을 차렸다. 밥도 해먹고 함께 놀러도 가고.

 

  노는 데 재미를 붙인 나는 결석하거나 학교에서 점심시간 전에 몰래 나왔다. 꼬리가 길면 잡힌다고 담임(여선생)이 우리 식료품가게로 찾아와 엄마한테 이실직고하는 바람에 엄마는 설탕이랑 밀가루 한 포대랑 선물로 드렸고, 아버지는 나를 혜자한테 떼어놓으려 했다. 너는 왜 몸은 안 크고 공부도 안 하고 아버지 속만 썩이냐, 손님 오니까 큰방 청소해놔라를 날마다 반복했다.

  그리고 어머니는 얘가 아주 이양스러우니까(아양스러우니까) 같이 놀지 마라.”고 노골적으로 불만을 터뜨렸다.

 

  나는 학교가 재미없어서(그리고 교실에 갇혀 있는 게 무척 싫어서) 결석을 하거나 조퇴를 하고는, 혼자 백과사전 보고 놀거나 공원에 가거나 언덕에 가거나 하는 식으로 나날을 보냈다.

  내가 학교에 가고 싶지 않은 마음이 생긴 데에는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은 나의 괴로움*이 있었다.

 

  마침내 나는 4학년 여름에 담임한테서 징계(학교에 나오지 마라: 퇴학)를 받았는데, 가을에 온 새 담임에게 엄마가 사정사정해서 학교를 다시 다닐 수 있었다. 나의 결석은 5학년이 되면서 조금씩 줄어들었지만, 내 몸에 심각하게 이상이 생겼음을 느끼게 된 무렵(학교 졸업하기 얼마 전)에 가장 친한 정호에게 헤어지자고 말하여, 내가 행한 첫 이별이 이루어졌다.

 

*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은 나의 괴로움 (3) 국밥집 가서 밥 한 숟가락 얻어 와라/ (4) 한 소년

.

.

.

1966

언덕의 아이

 

 

  열두 그루였는지는 모르나 나무가 서 있는 언덕에서

  내가 본 건 도시의 오후였지.

  흐릿하고 몽롱하게 안개와 함께 박혀버린 어느 봄날,

  열 살이나 혹은 아홉 살인 나는

  그날도 그곳으로 찾아갔었지.

  여자 친구와 헤어지고, ‘영원한 우정과도 헤어진 날,

  그 헤어짐 때문만은 아니었어.

  아버지가 날 싫어한 것 같아

  아마 이런 생각이 충동된 것도 같아.

  곧 스물두 살이 될 나는 겨울에도

  서석대에서 내려오는 길에

  친구하고 떨어져 언덕이 있던 자리를 보았지.

  제법 뚜렷하게 드러난 풍경 속에는

  언덕이 단절되고 그 자리에 집들이

  울긋불긋 오밀조밀 박혀 있더군.

  눈 덮인 통나무집 앞에서 키스하는 사진 속에

  ‘거울 속 왕자님을 바라보는 거지 소녀가’*라고 예쁘게 쓰인

  한 달 전의 카드가 생각나더군.

  그런 뒤, 30년쯤 흐르는 사이에 우쩍 커져버린 도시를

  도시의 아스라한 끝을 보았던 것인데…….

  지금은 언덕에 세워진 병원 창밖을 내다보고 있지,

  한 사람을 태운 휠체어를 밀고 4층 호스피스 병실

  작은 나무 둘레를 왔다 갔다 하다가.

  창밖에는 무슨 나무인지 나무가 자라고 있고

  한두 달 후면 봄이 올 텐데, 오후가 있고

  모르는 사람들이 살아 움직이고 있지.

.

― 「언덕의 아이전문

2010-10 2012-02-03 2012.04.30. 23:30 () =

문학마당39(2012-06-30)

2013-01-06 (교정) =

시집_카페, 가난한 비(2013-02-12)

.

* ‘거울 속 왕자님을 바라보는 거지 소녀가’ : 1978.11.07.(예비고사 날)에 받은 카드의 내용 (7) 장미의 곁에 있는 두 얼굴

.

.

실제 상황: 2009-02. 현재 시점

    (19663학년 /197812월 고3. 회상)

    2009-02. 광주기독교병원,

        어머니 임종 2개월 전

※ 「언덕의 아이는 나의 가장 어린 시절(9살 때, 1966)의 모습이 투영된 글이다.

.

.

.

사진

1978 년 12 월 무등산 서석대 올라가는 길에서. 「언덕의 아이」의 배경

    197812월 무등산 서석대 올라가는 길에서. 「언덕의 아이」의 배경

.

1978 년&nbsp; 12 월 ( 고 3, 21 살 때 )&nbsp; 광주시 계람동 우리집

    197812(3, 21살 때) 광주시 계람동 우리집

.

1966- 전남 제사를 중심으로 한 광주 시가지

    1966-전남 제사를 중심으로 한 광주 시가지

         사진출처: 광주광역시

http://gjarchive.kr/index.php?_filter=search&mid=cp06&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1966&document_srl=4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