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 시

나의 무비즘 (106), 실존주의 아방가르드 (20), 사상시 (9) 농아의 문자메시지 / 박석준

나의 120 농아의 문자메시지

나의 무비즘 (106), 실존주의 아방가르드 (20), 사상시 (9)

2008-10-11 ()

박석준 /

<원작>

농아의 문자메시지

 

 

  형체는 수도 없는 믿음을 불러세운다.

  믿음 따라

  형상은 갈라지는 그리움을 가린다.

  병원 앞 인도에 붕어빵 장사가 움직이고 있다.

  사람들은 그저 흔할 뿐인데도 유일한

  말을 떨어내며 살아가는데

  대학병원에서 나오자 농아는 붕어빵 포장마차 안으로 들어간다.

  따라온 건지 알 수 없는 개가

  컹 컹 컹

  짖는다.

  농아의 휴대폰에서 문자들이 찍힌다.

  ―붕어빵 2^^ 얼마?

  ―천원에 4

  소통이 끝나고 붕어빵 도구가 붕어를 구워 간다.

  농아가 건네는 붕어빵 봉투에서 형체가 꿈틀거리고 있다.

  “엄마, 엄 마,”

  수도 없는 밑음을 놔두고

  ―엄마 붕어빵 먹어요

  문자들이 찍힌다.

  농아의 메시지를 그려낸다.

  형상은 수도 없는 그리움에 잠긴 끝에

  병상에 앉아 있는 갑상선암 환자를 바라본다.

.

2008-10-16 2009-01-17 오전 11:35. 박석준-08종합1-1-1.hwp <원작>

= 석사학위 작품집(2009.08.)

∽→ 2012-10-31 <개작>

= 시집_카페, 가난한 비(2013.02.12. 푸른사상)

.

.

실제상황

    2008-10-11. () 광주시 전남대학병원 및 그 앞 인도

.

.

. 객관적 해석

  시 형식으로 표현된 농아의 문자메시지문자메시지에는 동일한 사건이 표현되어 있다. “대학병원에서 나오자 농아는 붕어빵 포장마차 안으로 들어간다.병원에서 나온 한 아이가 붕어빵 포차 안으로 들어간다.에서 붕어빵 포차 안으로 들어간다.가 이에 해당한 표현이다. ‘병원에서 나왔다는 사실과 나온 인물이 아이(농아는 귀가 들리지 않는 아이이다.)라는 점에서 들어간 인물이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게 한다.(동일 인물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게도 한다.) 그리고 이 문장들에서 표현 방법상 다른 점(무비즘이냐 아니냐 하는 점)은 쉽게 파악된다. “대학병원”, “에서 나오자”, “농아라고 행위를 한 주체와 행위를 이루어낸 시공간을 뚜렷하게 알 수 있게 하는(짙은 무비즘의) 글은 농아의 문자메시지이다. ― 「문자메시지또한 인물이 시공간을 흐르면서 발생하는 사건과 사정을 표현하는 기법의 글 즉 무비즘의 글이다.

  「농아의 문자메시지석사학위 작품집(20098)에 실려 있고 문자메시지는 시집 카페, 가난한 비(20132)에 실려 있다. 하지만 독자는 어느 것이 <원작>인지를 쉽게 구별해낼 수 없다. 그래서 여기서는 일단 먼저 발표된 농아의 문자메시지<원작>으로, 문자메시지<개작> 정하고 생각을 펼쳐가겠다.

  <원작>에서는 작가의 고민 등 상념을 뚜렷하게 반영하였으나, <원작>에서는 이런 요소가 없이 사건 위주로 진술하였다.

형체는 수도 없는 믿음을 불러세운다.”는 작가(화자)가 세상살이에 대해서 성찰하여 얻은 생각이며 당시에 화자를 번민하게 한 생각이다. 이런 점에서 <원작>은 사상시에 해당한다. “형체가 유발하는 수많은 생각은 믿음을 요구하지만, 당사자는 필요할 때만 형체”(의 의미)에 대해서 생각한다. 그리고 믿음을 따라 형상은 갈라지는 그리움을 가린다.” 즉 믿음의 내용이 변함에 따라 어떤 형상에 대한 그리움도 갈라져서, 그전의 그리움을 가리게 된다. “사람들은 그저 흔할 뿐이며 말을 떨어내며 살아가는데어떤 사람은 그저 흔한 사람(보잘것없는 평범한 사람)이지만, 말을 떨어내지 못한다. <원작>농아와 농아의 엄마가 그런 인물이다.(“”가 말을 못 하는 것은 귀가 들리지 않아서일 수도 있고 갑상선 수술해서일 수도 있다.) 말로 가지 못하는 목소리는 슬프다.

  “는 컹컹 짖어 무슨 말을 하려 하지만 보통 사람은 농아가 입으로 내뱉은 말에서처럼 그 말의 내용을 이해할 수가 없다. 이런 점에서 농아와 흔한 보통 소시민은 같은 부류의 사람일 때도 있으나 다른 부류의 사람일 뿐이다. ‘흔한 보통 소시민부유하거나 권력 있는, 또는 명망이 있는 사람이 다른 부류의 사람인 것처럼. 그런데도 사람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과 평등하다고 믿는다. 이것이 형체(사람을 포함한 사물들)에 대한 믿음의 패러독스이다.

  <개작>은 이런 점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형상화한 글이다. 아이가 말 못 하는 농아인 줄을 모르고 의사는 엄마 어엄마 붕어빵 먹어요^^.”라고 아이가 휴대폰에 찍어낸 글자를 봤을 뿐인데도 애가 참 착하네요, 말도 잘하고.”라고 자신의 생각을 말로 털어낸다. 한데 <개작>의 화자는 휴대폰 화면이 반짝반짝 말한다.”고 표현하고 있다.

.

창작 당시의 나와 내 주변 사람들

  나는 병든 사람이지만 갑상선 암으로 입원 중인 누나를 보러 20081011일 토요일 오후에 전남대병원으로 향했다. 광주기독병원에 입원 중인 의식이 없는 어머니를 보고 나온 후였다. 35살 된 미혼의 농아, 과부인 누나의 딸을 병원 앞 붕어빵 포장마차에서 만나서 함께 병실로 갔다. 가난한 누나는 간병인을 쓸 돈이 없었고 딸은 직업 없이 나이만 먹은 아이였고 누나 딸의 나이를 모르는 까닭에 의사도 그냥 아이로만 여겼다.

  나는 돈을 버는 미혼의 교사여서 두 곳으로 지급할 돈 계산을 해보는데, 이날은 병원에서 나와서 본 바깥 풍경(직선이 만들어 내는 도시의 건물들의 모습)에 마음이 일렁거렸다. 도시에서 사람들은 건물 속에서 일을 하기 때문이었다.(즉 어머니와 누나는 건물 속에서 일을 못 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나는 병원에서 나온 지 5일이 된 날(20081016)에 생각을 마치고 농아의 문자메시지라는 제목으로 글을 썼다. 이것은 석사학위 작품집에 실은 동명인 글 농아의 문자메시지의 초고가 되었다. 그리고 후일 시집 출간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개작하게 된 글이 문자메시지이다.

.

.

<개작>

문자메시지

 

 

  병원에서 나온 한 아이가 붕어빵 포차 안으로 들어간다.

  아이의 휴대폰 화면에 소리가 사라진 말이 찍힌다.

  ―붕어빵 2^^ 얼마?

  붕어빵을 굽던 따뜻한 손이 대답한다.

  ―천원에 4^^.

  붕어빵 틀에 붕어들이 구워지고 있다.

 

  아이가 건네는 붕어빵 봉투에서 붕어들이 꿈틀거린다.

  휴대폰 화면이 반짝반짝 말한다.

  엄마 어엄마 붕어빵 먹어요^^.

 

  갑상선 암 수술이 끝난 여인이 병상에 누워

  아이에게 눈길을 주며 입을 오물오물하는데

  “애가 참 착하네요, 말도 잘하고.”

  의사가 말을 털어낸다.

.

2009-01-17 <원작 농아의 문자메시지>

∽→ 2012.10.31. 00:43.. 박석준-시집 최종본 2012922-1.hwp <개작>

= 시집_카페, 가난한 비(2013.02.12. 푸른사상)

.

.

(초고) 2008-10-16

농아의 메일

 

 

  형체는 수도 없는

  믿음을 불러 세운다.

  밑음 따라

  형상은 갈래지는 그리움을 가리운다.

  병원 앞 인도에 붕어빵 장사가 움직이고 있다.

  형체는 수도 없는

  밀을 불러 세운다.

  병원에서 나오자 농아는 붕어빵 포장마차 안으로 들어갔다.

  따라온 건지 알 수 없는 개가

  컹 컹 컹

  짖었다.

  -붕어빵 2=

  천원에 네 개를 그려낸다.

  붕어 형상이 형체가 되었다.

  농아가 건네는 붕어빵 봉투에서 형체가 꿈틀거리고 있다.

  엄마, ,

  수도 없는 밑음을 놔두고

  -엄마 붕어빵 먹어요

  형상은 수도 없는 그리움이 잠긴 끝에

  농아의 메일을 그려냈다.

  병상에 앉아 있는 갑상선암 환자를 바라본다.

.

2008.10.16. 14:43. 카페 내시절 속에 살아있는 사람들_농아의 메일 (초고)

https://cafe.daum.net/poorrainman/TS0/29

.

.

사진

2021-08-31 전남대학교병원

  2021-08-31 전남대학교병원

.

2022-10-22_11:15.&nbsp; 광주시 푸른마을 포장마차

  2022-10-22_11:15. 광주시 푸른마을 포장마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