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시 11 세월은
나의 실존주의 의식의 흐름 (1)
1978
박석준 /
세월은
― 목욕탕에서
아기야, 날 보아줘
벌거벗은 날 말이야.
네가 나중엔 나보다 클까 하는 생각은 하기도 싫단다.
그리움은 이슬비처럼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것은 아니지만
쓸쓸하게 사라진단다.
널 기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네가 나중에 길 위로 걷게 될 생각은 하기도 싫단다.
동경은 바람처럼 어디서인지 찾아왔던 것은 아니지만
허무하게 사라진단다.
아기야, 날 보아줘
소리치지 말고 말이야.
네가 나중엔 날 알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은 하기도 싫어.
연모함은 꿈과 같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지만
적막하게 사라진단다.
난 이제 옷을 입는다
아기야 넌 알 수 없지? 내가 옷을 입은 걸 말이야.
네가 보았어도 알지 못하듯, 나도 널 보았어도 알지 못하지.
네가 나중엔 무엇과 같을지……?
난 이제 가련다
늙지 않는 소년을 훼멸하고, 길을 밝혀오는 빛을 밟고서
아기야, 날 보아줘.
.
1978-12-01(21살: 만 20살 8개월) 씀 <원작>
= 시집_『거짓 시, 쇼윈도 세상에서』(2016.12.02. 문학들)
.
.
실제 상황:
1978-11-26(21살 고3), 계림동 우리 수예점 가게 옆 대중목욕탕에서
.
.
Ⅰ. 표현과 경향
「세월은」은 시각적, 동적인 이미지 서술어(벌거벗다, 입다, 내려오다, 찾아오다, 사라지다, 나타나다, 밟다)를 사용하여 화자의 상황을 등장인물(“아기”)에게 말하는 형태로, 현재 시제로 표현한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쓴 글이다. 「세월은」에선 (그리움은 이슬비처럼/동경은 바람처럼)에 이미지즘 경향이 반영되었다.
“아기야, 날 보아줘”와 ‘것은 아니지만∼하게 사라진단다.’라는 통사구조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하는데, 마지막에 이르기 전에 “아기야 넌 알 수 없지?”라고 변형하여 단순함을 피하고 있다.
“난 이제 가련다/늙지 않는 소년을 훼멸하고, 길을 밝혀오는 빛을 밟고서”에서 “빛”은 ‘실존’을 상징하는 말이다.
.
.
※ 글 밖 실화 및 창작 동기
예비고사 날(1978년 11월 7일)이 지나고, 1978년(21살, 고3) 11월 하순에 나는 집 근처인 계림파출소 건너편 대중목욕탕으로 갔다. 목욕 후에 옷을 입고 있는데, 아기가 기어가는 것이 눈에 띄었다. 그러고는 나의 의식이 흘러갔다. ‘21살이 되었어도 나는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아직 소년의 상태에 머물러 있다, 나는 언제 어른이 될까? …’라는 식으로. 이런 생각은 ‘나의 실존’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다.
귀가하자 곧 나는 이 생각들을 글로 흘려냈다. 그렇게 하여 그날 바로 쓴 글이 이 글 「세월은 ― 목욕탕에서」이다. 나는 고교 진학한 때(1975년)부터 글을 썼다. 「세월은」은 지금 남아 있는 나의 글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세월은」이 시일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남에게 보여주지 않았는데 시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2016년에 하게 되었다. 그래서 시집 『거짓 시, 쇼윈도 세상에서』(2016.12.)에 수록했다.
.
.
의식의 흐름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은 미국의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가 1890년대에 처음 사용한 심리학의 개념이다. 그의 이 개념은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즘의 문학과 예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인간의 의식은 정적인 부분의 배열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동적인 이미지와 관념이 흘러 늘어선 것이라고 하는 사고방식이다. 앙리 베르그송도 《시간과 의식에 대한 고찰》에서 제임스와 같은 시기에 유사한 착상을 하였고 “고수”라는 개념을 주창하고 있다. 베르그송과 제임스는 서로 교류를 하였지만 영감은 서로 독자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이 개념은 나중에 문학의 한 기법을 나타내는 용어로 쓰이게 된다. 즉 “인간의 정신 속에 끊임없이 변하고 이어지는 주관적인 생각과 감각, 특히 주석 없이 설명해 나가는 문학적 기법”을 대표하는 문학 용어로 “의식의 흐름”이라는 말이 이용되게 된다. 이 뜻을 처음 사용한 것은 영국의 소설가 메이 싱클레어이다.
.
.
※ 에피소드
나는 ‘목욕탕’을 소재로 하여 네 편의 글(「세월은 ― 목욕탕에서 」, 「목욕탕에서」, 「주의해야 할 사람의 명단」, 「라 코뮌」)을 썼다. 이 글들에서 “나”는 나(박석준)이고, 전개된 사건(이나 사람, 생각)은 실재한 것들이다.
.
사진
1978 고3 때. 20200729_082401-3
.
1979-01. 고등학교 졸업식 날. 광주고. img318
.
광주시 푸른마을. 20211112_155059
.
'나의 시 (창작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무비즘 (12), 실존주의 앙가주망 (9) 1980년 / 박석준 (0) | 2024.05.09 |
---|---|
나의 무비즘 (11), 앙가주망 (8), 초현실주의 (1) 콧수염 난 꼬마 청년 ― 마음과 시공간의 잔상 1 / 빅삭준 (3) | 2024.05.08 |
나의 무비즘 (10), 실존주의 앙가주망 (7) 한순간만이라도 이미지를 / 박석준 (1) | 2024.05.08 |
나의 무비즘 (9), 실존주의 앙가주망 (6), 상징주의 (1) 장미의 곁에 있는 두 얼굴 / 박석준 (0) | 2024.05.07 |
나의 무비즘 (8), 실존주의 모더니즘 (3), 사상시 (1)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이니 / 박석준 (0) | 2024.05.06 |